렌치볼트, 렌지볼트, 유두볼트 등 수많은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렌치볼트
하지만, 나라표준인증(KS인증)에서는 6각 구멍붙이 볼트라고 합니다.
금형가공품이나 프로파일 제작 시에 가장 많이 쓰이는 볼트로, 볼트머리의 돌출 없이 카운터보링으로 사용됩니다.
렌치볼트와 육각볼트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강도에 따른 재질입니다.
https://update-ing1.tistory.com/5 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육각볼트는 SM45C로 만든 제품이 표준 제품으로 나오지만 렌치볼트의 경우에는 그보다 더 강성인 SCM435재질이 표준품으로 제작되기 때문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설명을 해드렸지만 SCM435>SM45C>SUS304>SS400 순의 강도가 결정됩니다.
1. 렌치볼트 사이즈 (ks규격 기준)
- 출처 : 나라표준인증 (https://standard.go.kr/), 그림,표 : 업데이트중입니다 작성
먼저, 렌치볼트의 규격부터 아래에 설명을 하겠습니다. 이는 KS규격을 기준으로 삼아서 제가 직접 그리고 표를 만든 것입니다. 실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참고용으로만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 분 (직경 d) | 볼트머리대변 (dk) | 소켓대변 (s) | 머리높이 (k) | 나사산 간격 (p) | 일반제작길이 (L) |
M2 | 3.8 | 1.5 | 2 | 0.4 | 3-20 |
M2.5 | 4.5 | 2 | 2.5 | 0.45 | 4-25 |
M3 | 5.5 | 2.5 | 3 | 0.5 | 5-30 |
M4 | 7 | 3 | 4 | 0.7 | 6-40 |
M5 | 8.5 | 4 | 5 | 0.8 | 8-50 |
M6 | 10 | 5 | 6 | 1 | 10-60 |
M8 | 13 | 6 | 8 | 1.25 | 12-80 |
M10 | 16 | 8 | 10 | 1.5 | 16-100 |
M12 | 18 | 10 | 12 | 1.75 | 20-120 |
M14 | 21 | 12 | 14 | 2 | 25-140 |
M16 | 24 | 14 | 16 | 2 | 25-160 |
M20 | 30 | 17 | 20 | 2.5 | 30-200 |
M24 | 36 | 19 | 24 | 3 | 40-200 |
M30 | 45 | 22 | 30 | 3.5 | 45-200 |
M36 | 54 | 27 | 36 | 4 | 55-200 |
M42 | 63 | 32 | 42 | 4.5 | 60-300 |
M48 | 72 | 36 | 48 | 5 | 70-300 |
M56 | 84 | 41 | 56 | 5.5 | 80-300 |
M64 | 96 | 46 | 64 | 6 | 90-300 |
(모든 사이즈 mm 기준)
1) 나사피치는 너트와 체결할 때 가장 중요시 여기는 나사산 간격입니다.
2) 소켓대변은 볼트 체결 시 육각렌치 또는 L렌치 등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알맞는 사이즈를 찾아 체결 하시면 됩니다.
3) 볼트 길이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사이즈를 나열하였습니다. 보통은 5~10mm 단위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위 테이블에 없는 사양은 유통점이나 공장에서 문의하셔야 합니다.
2. 렌치볼트 재질에 따른 종류
- 렌치볼트는 재질에 따라 SCM,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그리고 티탄등으로 나뉘며, 도금에 따라서는 니켈도금, 무전해니켈도금, 백색아연도금, 크롬, 동도금 등 많은 도금 종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재질과 도금은 크게 니켈도금 렌치볼트, 스테인리스 렌치볼트 그리고 씨엠렌치볼트라고 불리우는 SCM435 렌치볼트입니다. 각각의 재질과 도금 방법에 대해서는 본 블로그 포스팅 글 중에서 https://update-ing1.tistory.com/4와 https://update-ing1.tistory.com/5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1) 렌치볼트를 사용함에 있어 풀림방지를 위해 셈스볼트 (SEMS BOLT)라는 제품을 사용합니다. 볼트 자체에 스프링와셔와 평와셔가 볼트에 붙어서 출고가 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사용하는 작업자의 작업속도와 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샘스볼트에 주로 쓰이는 재질은 철(흑착색), 스테인리스 그리고 니켈도금이 많이 쓰입니다.
2) SCM435볼트 (씨엠볼트, 고장력 유두볼트) : 흑착색도금이 되어 있으며, 녹방지를 위해 오일 등이 발라져 있습니다. 유통점 또는 현장에서는 SCM렌치볼트, 씨엠볼트, 열처리렌치볼트 또는 고장력렌치볼트 등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볼트 머리에는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12.9라는 숫자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인장강도가 가장 큰 볼트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나사산의 경우 일정 길이가 넘으면 부분산으로 되기 때문에 유통점이나 공장에서 구매하실 때 반드시 전산 또는 부분산 유무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Life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볼트의 인장강도 KS규격, JIS규격 (1) | 2023.06.16 |
---|---|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육각볼트 KS규격볼트 (0) | 2023.06.14 |
볼트와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도금에 대하여 (0) | 2023.06.13 |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재질에 따른 분류 (2)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