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금 : [명사] [공업 ] 금속이나 비금속의 겉에 금이나 은 따위의 금속을 얇게 입히는 일. 썩거나 닳는 것을 방지하거나 장식의 효과를 내기 위하여 한다.
도금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위에 보시는 것처럼 사전적의미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간단히 설명을 하자면 어떠한 물질이 썩거나 닳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금이나 은 또는 다름 금속을 얇게 입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볼트와 너트 등에 주로 사용되는 철은 쉽게 녹슬거나 부식이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쉽게 녹슬거나 부식이 되면 우리가 볼트와 너트 등을 일상생활에 사용함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또는 제품의 내구성이 나쁘게 될 것입니다.
볼트와 너트 등에 도금을 한다는 것은 쉽게 부식되고 녹스는 철의 특성을 다른 물질 들 겉에 입힘으로써 녹슬거나 부식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전문가 입장에서 도금을 종류를 서술하는 것이 아닌 누구나 쉽고 빠르게 도금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 하였습니다. 세세하게 도금에 대해서 다루게 된다면 전기적인 특성이 뭐다, 또 어떤 도금이 좋다 이것이 아닌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볼트와 너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도금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볼트, 너트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금의 종류]
- 아연도금, 니켈도금, 크롬도금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금입니다. 물론 특수한 도금도 있지만 오늘은 가장 일반적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금 종류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
1. 아연도금
아연도금은 철의 산화(녹슬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방청작업이라고도 합니다.)하기 위하여 아연을 그 표면에 얇게 입히는 작업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볼트나 너트에 가장 기본적으로 도금이 입혀져 있다고 하면 아연도금이 되어 있는 제품(전기아연도금)을 말합니다.
1) 전기아연도금 : 철(SS400)으로 만들어진 볼트와 너트는 기본적으로 전기아연도금이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미리(mm)볼트나 너트에서는 천연색(노란색)을 띄는 경우가 많으며, 인치(inch) 볼트에서는 백색을 띄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니켈아연도금 : 일반적인 아연도금에 니켈(5-10%정도)함유된 도금으로 일반적인 아연도금에 비해 내식성이 뛰어나며, 도금 후 은색을 띄어 외관상 보다 깔끔하고 깨끗한 느낌이 듭니다. (스테인리스와 비슷한 색상의 느낌이 듭니다.)
3) 용융아연도금 : 여타 다른 도금들에 비해 두껍게 도금이 되는 것이 특징(40-80µ의 두께)이며, 이로인해 철이 부식이 잘되는 바닷가 등에서 주로 많이 쓰이는 도금입니다. 회색을 띄는 것이 특징이며, 외관상으로 두껍게 도금이 되기 때문에 거친 느낌이 매우 강합니다. 너트의 경우에는 두꺼운 도금막 때문에 오버탭(기존사양보다 한단계정도 위)을 하여 도금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제품의 경우 보통 육각볼트, 너트 및 와셔류등만 유통점에서 재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제품의 경우 주문 제작 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니 미리 참고하여 주십시오.
2. 니켈도금
니켈도금의 종류에는 전기도금과 무전해도금이 있으며, 니켈도금은 단단하고 내식성이 뛰어나고 광택이 좋기 때문에 사용되는 용도가 매우 넓은 편입니다.
1) 니켈도금 : 통상적으로 백색 또는 은색을 띄는 것이 특성이며, 녹이 잘슬지 않고 변색의 우려가 매우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통상적으로 5-10µ의 두께로 도금되며, 일반적으로 니켈도금볼트라고 불리우는 것이 이 제품입니다.
2) 무전해니켈도금 : 전기로 도금하는 것이 아닌 화학작용에 의해서 도금되는 것이 특징이며, 복잡하고 어려운 형상에도 쉽고 균일하게 도금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통상적으로 경도가 HV 기준 450-500이며, 열처리할 경우 650-1,000까지도 경도가 올라갑니다. 최소 5µ의 도금두께이며, 통상적으로 25µ 두께로 도금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유통점이나 공장에서 출시되는 제품은 니켈도금 제품이며, 렌치볼트나 가구용볼트, 와셔 및 너트 등이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무전해니켈도금이나 아연니켈도금의 제품을 구할 경우, 시중품으로 나오는 것은 거의 없으며 일반적으로 유통점이나 공장에 주문 제작 및 도금 의뢰를 해야 합니다.
3. 크롬도금
- 크롬도금은 장식성과 내식성이 매우 뛰어나며, 은색을 띕니다. 물이 많이 사용되는 곳 (주방, 욕실 등)에 많이 사용되며, 자동차 외장 장식용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볼트에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도금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위에도 언급한 것과 같이 도금이 어떻게 진행이 되고 어떠한 화학작용, 전기 작용이 일어나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너무 깊게 파고 들게 되면 본질을 이해하기 어렵고, 또 전문가가 아닌 이상 꼭 알아야 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이글을 쓰고 있는 저 역시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볼트에 사용되는 도금이 아 이런 것들이 있다라는 정도만 알고 있어서 제가 알고 있는 상식내에서 포스팅 하였습니다.
저보다 더 훌륭하고 지식이 높으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저 자세하고 세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른 분들의 글을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에는 볼트의 종류에 대해서 포스팅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볼품 없는 제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fe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볼트의 인장강도 KS규격, JIS규격 (1) | 2023.06.16 |
---|---|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렌치볼트 KS규격볼트 (0) | 2023.06.15 |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육각볼트 KS규격볼트 (0) | 2023.06.14 |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재질에 따른 분류 (2)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