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트 종류 중 가장 일반적인 육각볼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재질에 따른 강도 순서 : SCM435 > SM45C(S45C) > SUS304(STS304) > SS400
볼트 종류는 너무 많습니다. 육각볼트, 렌치볼트, 유볼트, 전산볼트, 아이볼트, 무두볼트 등등등...
모양에 따라 재질에 따라 불리우는 이름도 제각각 다르고, 어떠한 모양에 어떠한 사이즈가 나오는지 시중에 검색을 하면 나오지만 대부분 카달로그를 스캔하거나 오래된 자료도 많고 워터마크에 중요한 자료가 가려지고 또한 해상도가 높지 않아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저 역시도 볼트 관련하여 이제 갓 일을 시작했지만 원하는 정보를 찾고 얻기란 너무 불편한 것들이 사실입니다.
오늘은 많은 볼트 종류 중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육각볼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육각볼트는 위와 같이 볼트, 평와셔, 스프링와셔 그리고 너트 순으로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와셔는 풀림방지를 위해서 쓰이기 때문에 반드시 써야 한다는 규정은 없지만 안전을 위해서 쓰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이글을 읽는 현업에 계시는 분들은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입니다!!!
1. 육각볼트 사이즈 (ks규격 기준)
- 출처 : 나라표준인증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 그림 : 업데이트중입니다 작성
구 분(직경 d) | 나사피치 (p) | 볼트머리대변 (S) | 볼트머리길이 (k) | 볼트 길이 (L) |
M3 | 0.5 | 5.5 | 2 | 10-30 |
M4 | 0.7 | 7 | 2.8 | 10-50 |
M5 | 0.8 | 8 | 3.5 | 10-150 |
M6 | 1 | 10 | 4 | 10-150 |
M8 | 1.25 | 13 | 5.3 | 15-200 |
M10 | 1.5 | 16 | 6.4 | 20-200 |
M12 | 1.75 | 18 | 7.5 | 20-200 |
M14 | 2 | 21 | 8.8 | 25-200 |
M16 | 2 | 24 | 10 | 40-200 |
M20 | 2.5 | 30 | 12.5 | 40-200 |
M24 | 3 | 36 | 15 | 50-200 |
(모든 사이즈 mm 기준)
1) 나사피치는 너트와 체결할 때 가장 중요시 여기는 나사산 간격입니다.
2) 볼트머리대변은 볼트 체결 시 스패너, 복스 등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알맞는 사이즈를 찾아 체결 하시면 됩니다.
3) 볼트 길이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사이즈를 나열하였습니다. 보통은 5~10mm 단위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위 테이블에 없는 사양은 유통점이나 공장에서 문의하셔야 합니다.
2. 육각볼트 재질에 따른 종류 및 강도
1) 일반 육각 볼트 : SS400 (Steel Sructure 400)은 시중에서 철이라고 불리우는 재질로 만들어진 볼트를 말하며, 한국산업규격(KS) SS400을 통칭하며, 인장강도가 400MPa인 제품입니다. 보통은 열처리를 하지 않고, 방청작업을 위해 아연도금을 하여 미리(mm)산 볼트는 겉표면색이 황색, 인치(inch)산 볼트는 백색을 띄는 것으로 보통 생산됩니다. 강도등급은 4.8T로 다른 재질에 비해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힘을 많이 받지 않는 곳에서 사용하기를 권합니다. 또한, 가격도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장 부담이 없습니다.
2) 스텐 육각 볼트 (Stainless Hex Bolt, SUS or STS bolt) : 볼트나 너트에서는 보통 SUS304나 SUS316 두가지가 쓰이고 있는데 둘다 은색재질로 외관상으로 크게 차이점을 찾을 수 없습니다. 보통 SUS304의 제품은 크롬이 18-20%, 니켈이 8-11%정도 함유된 제품입니다. 특별히 볼트나 너트에서 사용되는 스텐 육각볼트는 SUS304 제품이 대다수를 차지 하고 있으며, 일반 육각볼트에 비해서 표면이 깨끗하고 안정적이며, 녹이 잘 슬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 또한 존재합니다.
SUS304 계열의 볼트나 너트 등에 "A2-70"이라고 표기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A2는 스텐계열, 70은 인장강도를 뜻합니다. SUS304기준 인장강도는 700MPa입니다.
SUS316 계열의 볼트나 너트 등에 "A4-70"으로 표기 되어 있으며, A4는 스텐계열, 70은 인장강도를 뜻합니다. 통상적으로 크롬이 12-15%, 니켈이 10-14%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별도로 가장 내식성과 부식성이 강한 SUS316L의 경우에는 크롬이 12-15%, 니켈이 16-18% 함유되어 있으며, 가장 가격이 비싼 것이 특징입니다.
3) 고장력볼트 (특강볼트, 콜라볼트, 하이텐션볼트) : SM45C의 중탄소강 (0.42-0.48%의 탄소함유량) 제품으로 강도 및 충격저항성이 필요한 곳에 맞는 강재(주로, 부피가 크거나 힘을 많이 받는 기계부품, 건축기초작업, 공작기계, 자동차 및 반도체 장비 등에 쓰입니다.)이며, 기본적으로 탄소함유량이 높아 인장강도, 연성 그리고 내마모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고장력볼트의 강도는 10.9T이며, 인장강도는 1,040MPa 입니다.
보통, 녹방지를 위해서 흑착색이 되어 유통되기 때문에 장시간 보관시 방청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나사산부분이 50mm이상 되면 부분 나사산으로 생산이 되게 때문에 유의하셔야 하며, 구매시 전산 또는 부분산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그외 가장 강도가 높은 SCM435 강도12.9T를 육각볼트로 구하시려는 분들께서는, 일반적인 육각볼트는 SCM435로 제작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점 또는 공장에 주문 제작을 의뢰하셔서 구매하여야 합니다.
'Life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볼트의 인장강도 KS규격, JIS규격 (1) | 2023.06.16 |
---|---|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렌치볼트 KS규격볼트 (0) | 2023.06.15 |
볼트와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도금에 대하여 (0) | 2023.06.13 |
볼트, 너트 그리고 와셔의 종류 - 재질에 따른 분류 (2) | 2023.06.12 |